기사 메일전송
부산시 /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 후보지 선정
기사수정

부산시청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부산이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의 분산특구 지정 공모 진행 결과, 11개 시도의 25개 분산특구가 접수됐다. 이후 산업부 분산특구 실무위원회를 통해 부산, 울산, 경북, 경기, 충남, 전남, 제주 분산특구 7개 지역이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으며, 오는 6월 중 에너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대상지가 선정될 예정이다.

 

 * 부산(강서), 울산(남구), 경북(포항), 경기(의왕), 충남(서산), 전남(해남), 제주(V2G)

 

시는 강서구 일원 49.9제곱킬로미터(㎢) 부지에 신산업활성화형 분산특구를 지정하고, 대규모 공유형 에너지저장장치(ESS) 팜(Farm)을 조성할 계획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 팜(Farm)’은 기존 에너지저장장치(ESS) 단점인 수요자의 초기투자비용, 효율성 저하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별도 원격지에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조성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수요자간 가상상계거래를 통해 전력 거래를 하는 신사업모델이다.


 안정성이 높은 엘에프피(LFP) 배터리를 활용해 2027년까지 250메가와트시(MWh) 구축 및 운영 후 2030년까지 500메가와트시(MWh)로 확대할 계획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전력공급대상 업체의 계절·시간별 인공지능(AI) 기반 수요패턴 분석을 통한 실시간 수요 대응을 통해 기존 에너지저장장치(ESS) 대비 활용률을 극대화하며, 항만 육상전원공급설비(AMP) 등 일시적인 대규모 전력수요 발생 시 저장된 전기를 방전해 선제적인 전력공급을 할 수 있다.

 

박형준 시장은 “에코델타시티와 강서산단 일대에 에너지 신산업 실증 및 확산 기반을 갖추게 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라며, “그간 규제를 통해서 추진되지 못했던 에너지 혁신모델 구현을 통해 수요기업들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앞으로 부산이 세계적(글로벌) 에너지 혁신 선도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fksm.co.kr/news/view.php?idx=7105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친환경우수제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